UI/UX
홈페이지 디자인
개요
디자인은 UI의 아이덴티티를 활용하여 특성화 주관사의 홈페이지를 상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최신 트랜드를 반영한 통일된 컨셉과 차별화된 디자인을 확립하여 대학의 홈페이지 구축사업에 최적화된 디자인으로 제작합니다.
또한, Site Image, 콘텐츠를 찾는 사용자의 움직임, 콘텐츠의 가독성이 하나로 묶여져 시각적 경험(Visual Experience)이 되게 합니다.
Customer Targeting 맞는 Image Positioning
각 대학(교)에 분산된 시스템 환경을 통합하여 데이터 교환의 안정성과 보안에 대해서 K2Web 솔루션으로 제어합니다. 다양한 컨텐츠(놀거리, 볼거리 등)을 부가서비스 (채팅, 개인블로그, 카페, 온라인브로셔, 신문서비스, 지식인서비스, 웹진서비스, e-class, 학습커뮤니티, 아바타, 게임, UCC, 동영상컨텐츠제작 등)로 생성&연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Main
- 웹사이트 존재이유
- Sub
- 시선의 흐름 콘텐츠 및 서비스의 우선순위
- Contents
- 콘텐츠의 그룹핑 가독성
웹콘텐츠 접근성 확보 주요지침
각 대학(교)에 분산된 시스템 환경을 통합하여 데이터 교환의 안정성과 보안에 대해서 K2Web 솔루션으로 제어합니다. 다양한 컨텐츠(놀거리, 볼거리 등)을 부가서비스(채팅, 개인블로그, 카페, 온라인브로셔, 신문서비스, 지식인서비스, 웹진서비스, e-class, 학습커뮤니티, 아바타, 게임, UCC, 동영상컨텐츠제작 등)로 생성&연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인식의 용의성
- 글로 표현할 수 없는 콘텐츠를 제외하고 장애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콘텐츠를 인지 할수 있도록 제공해야한다.
- 운용의 용의성
- 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구성요소 들은 장애 유형과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사용 할수 있어야 한다.
- 이해의 용의성
- 모든 콘텐츠는 가능한 한 그 내용과 사용방법을 모든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해야 한다
- 기술적 진보성
- 현재 개발된 보조기술로는 접근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웹 콘텐츠는 가용한 보조기술을 이용하여 접근 할 수 있도록 대체 콘텐츠를 함께 제공해야 한다